국내에서 만든 알트코인 중에서도 실제 현금을 대신해서 통용되고 있는 코인들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오늘 포스팅에서는 국내에서 순수하게 개발되고 난 이후 스마트폰 어플을 통해 가입한 회원이 앱을 깔면 지갑이 자동 생성되어 그 지갑에 들어있는 코인으로 CU, OK Cashbag, L.Point(롯데맴버십포인트), NOL(야놀자), 메가박스, 에어아시아 등의 포인트로 교환하거나 직접 코인으로 결제도 할 수 있는 밀크코인(MLK)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밀크코인이 어떤 코인인지, 어떻게 얻을 수 있는지, 그리고 MLK 코인의 향후 성장 가능성까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앱테크로 모을 수 있는 국내산 코인, 밀크코인(MLK)을 아시나요?
밀크코인의 개요부터 수집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
1. 밀크코인이란 무엇인가?
▶ 항공 마일리지·포인트를 통합해주는 ‘포인트 연동 플랫폼’
밀크(MILK)는 여행, 숙박, 항공, 문화생활 등에서 발생하는 고객 포인트를 하나의 디지털 자산으로 통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플랫폼입니다. 기존에는 제휴사별로 포인트가 쪼개져 활용도가 낮았다면,밀크는 이를 하나의 통합 자산으로 만들어 암호화폐 MLK 토큰으로 변환할 수 있게 해줍니다.
구분 | 내용 |
토큰명 | MILK |
블록체인 | 클레이튼(Klaytn) 기반 |
목적 | 포인트 연동 및 실생활 활용 자산화 |
발행 방식 | 제휴 앱 연동 및 교환, 앱테크로 획득 가능 |
2. 개발 및 운영 주체는 누구인가?
밀크 프로젝트는 (주)체인파트너스 출신 개발진과 (주)밀크파트너스에 의해 추진되었으며, 현재는 밀크파트너스가 독립적인 운영 주체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창립자는 IT 및 블록체인 업계 경력을 다년간 지닌 인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코인의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은 카카오의 클레이튼(Klaytn) 메인넷이었으나, 2025년 4월 10일 부로 레이어2를 채용해서 속도를 높인 아비트럼 원(Arbitrum One) 체인으로 메인넷을 이전하였습니다.
밀크파트너스는 롯데호텔, 신라면세점, 야놀자, 진에어, CU편의점, 신세계면세점 등 유수의 국내 기업과 제휴를 맺으며 플랫폼을 확장해왔습니다.
3. 프로젝트 시작과 그동안의 진행 상황은?
▶ 초기에는 ‘여행 포인트 통합 플랫폼’으로 시작
- 2019년 4분기: 밀크 프로젝트 공식 출범
- 2020년: 야놀자, 신라면세점과의 제휴 확대
- 2021년: 진에어, CU 편의점과의 연동
- 2023년 이후: Web3 친화 기능 개발, NFT 기반 숙박권, 항공권 연계 구상 진행 중
▶ 코로나19 이후 회복세
여행 관련 서비스 중심이었던 만큼, 코로나19로 일시적 침체를 겪었지만, 포스트코로나 흐름에서 빠르게 회복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4. 밀크 프로젝트의 비전과 성장 가능성
▶ 포인트 경제의 블록체인화
밀크코인의 비전은 단순한 리워드 플랫폼을 넘어, '생활 밀착형 포인트 경제 시스템'을 블록체인으로 연결하는 것입니다. 이는 실생활 활용성과 암호화폐의 접점을 확대하는 중요한 방향이기도 합니다. 국내 유통/여행/숙박 업체의 관심이 높고, 실사용 기반이 분명하다는 점에서 알트코인 중에서도 "실질적 쓰임이 있는 코인"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Web3 대중화의 첫 단추
- 실물경제와 블록체인 간의 연결 고리
- B2B 확장 가능성 (기업 간 포인트 통합)
5. 밀크코인은 어디에 상장되어 있나?
현재 MILK 코인은 아래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거래소명 | 마켓 | 비고 |
업비트 | MLK/KRW | 국내 최대 거래소, 거래량 높음 |
빗썸 | MLK/KRW | 실명인증 계좌로 거래 가능 |
코인원 | MLK/KRW | 모바일 사용 편리함 |
Gate.io 외 일부 해외 거래소 | MLK/USDT | 거래량은 낮음 |
국내 3대 거래소에 모두 상장되어 있다는 점에서, 신뢰성과 접근성이 높습니다.
6. 밀크코인을 앱테크로 모으는 방법은?
밀크코인을 무료로 모을 수 있는 가장 빠른 방법은 밀크 앱을 설치하여 회원가입을 한 다음, 매일 한 번씩 출석체크를 통해 코인을 얻는 것입니다. 일종의 채굴이라고 할 수 있는 이 방법은 밀크코인 앱 내의 지갑을 열고 하루에 한 번 씩 "스탬프"를 찍는 것입니다. 연속해서 스탬프를 찍는 데 성공하면 주기적으로 소량의 밀크코인을 지갑에 자동으로 넣어줍니다.
밀크코인과 제휴된 앱을 통해서도 직접 채굴이 가능하거나 포인트 전환이 가능합니다. 밀크는 PoU (Proof of Usage)개념 기반으로,직접 사용하거나 참여하면 보상을 받는 구조입니다. 즉, 앱을 쓰는 것만으로도 암호화폐를 획득할 수 있는 ‘생활 속 채굴형 코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야놀자 앱에서 모으기
- 야놀자 포인트를 모은 뒤 → MILK로 전환 가능
- 출석체크, 숙박 예약 시 리워드 지급
▶ CU 멤버십 앱, 진에어 앱
- 제휴된 포인트를 밀크로 교환
맺음말
밀크코인은 앱테크와 암호화폐를 연결하는 대표적인 국내 프로젝트입니다. 특히, 포인트를 그냥 버리는 게 아니라, 실질적인 자산으로 전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알트코인입니다.
"앱으로 코인을 모을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가장 먼저 추천할 수 있는 답이 바로 밀크코인입니다. 단순히 투자 대상이 아닌, 실생활에서 직접 활용하고 체험하며 얻을 수 있는 코인으로서 앞으로도 꾸준한 주목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코인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이란 무엇인가, 개념과 작동원리 (3) | 2025.05.20 |
---|---|
가상화폐란 무엇인가? - 처음 시작하는 사람들을 위한 가장 쉬운 디지털 자산 기초 설명서 (2) | 2025.05.20 |
앱테크로 모을 수 있는 실사용 코인, 페이코인(PCI) 알아보기 (1) | 2025.05.19 |
알트코인이란 무엇인가? - 비트코인과의 차이, 도미넌스 개념, 그리고 투자 전략까지 (0) | 2025.05.18 |
알트시즌이란? - 알트코인 강세장의 시작과 끝을 구별하는 방법, 초보자를 위한 핵심 해설 (0) | 2025.05.18 |